본문 바로가기
내가 공부한 것들

[교통] 연 평균 일교통량(AADT) 및 평균 일교통량 (ADT)

by 2ns 2022. 7. 4.

교통량을 조사할 때, 또는 교통량 데이터를 활용할 때 자주 보게 되는 용어 중 하나가 AADT이다.

AADT는 연 평균 일교통량으로, 1년 365일의 평균 교통량이다. 도로의 한 지점에서 365일 동안 관측한 교통량이며, 

다음과 같은 식을 통해 구할 수 있다.

연 평균 일교통량(AADT) = 해당 지점(구간)의 연간 총 교통량 / 365 
(단위: 대 수 / 일)

ADT라는 것도 있는데, ADT는 평균 일교통량으로, 1년보다는 짧고, 1일보다는 긴 기간 동안 조사한 교통량이다.

평균 일교통량(ADT) = 해당 지점(구간의) 조사 기간 동안의 교통량 / 조사일수 
(단위: 대 수 / 일)

 

보통 ADT는 수시조사 교통량이라고도 하는데, 예를 들어 이런 문구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아마 교통 쪽 업무를 해보신 분이라면 한 두번쯤은 보지 않았을까? 싶다)

조사시기 : 2022년 6월 29일 (수) 08:00 ~ 6월 30일 (목) 08:00 [24시간 조사]
조사구간 : 서울특별시 테헤란로 인근

 

이렇게 조사된 ADT를 바탕으로 AADT를 추정할 수 있으며, 추정 공식은 다음과 같다.

AADT = ADT / (월 보정계수 * 요일 보정계수)

여기서,
월 보정계수 : 연 평균 일교통량에 대한 월 평균 일교통량의 비율로 월마다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계수
                    = i 월의 평균 일교통량 (ADT) / 연평균 일교통량 (AADT)

요일 보정계수 : 연 평균 일교통량에 대한 특정 요일의 평균 일교통량의 비율로 요일의 변동성을 나타냄
                        = k 요일의 평균 일교통량 (ADT) / 연평균 일교통량 (AADT)

 

보정계수를 계산식에 넣는 이유는, 각각 요일과 월별 특성으로 인해 평균보다 과대/과소로 나올 수 있는 교통량을 평균으로 보정해주기 위해서이며, 통행 특성 상 월, 요일별로 변동이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주기 위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전에 배웠던 건데 오랜만에 프로젝트하다가 다시 한번 보게 되어 정리를 했다.

(혹시 제가 알고 있는 개념과 다른 부분이 있거나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소중한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계속해서 정리해나가야지. 짧게라도.